만력보서문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만력보서문

만력보서문

 

 宣祖 丙午 만력보(萬曆譜) 서문(序文)


tpqh2.jpg蘇老泉譜蘇氏之族曰 一人之身分 而至於塗人者 勢也 幸無致忽忘焉 可也 又曰獨吾之所自出 得詳與尊 譜吾作也 嗟呼 此足以發千古作譜者之心也 吾宗出古陁州卽今晉州 始三韓迄今時 苽葛緜綿焉 不知其幾千年 在十世以前年代古矣 子女傍親無籍可尋

自元正公以後 至文孝公 衣冠兩朝 蟬聯赫奕 內外宗支 布滿一國者 歷歷可見 第以各相分派 親盡服窮 原其初 雖以一人之身 而卒未免與塗人之歸 嗚呼 此果安於忽忘焉塗人焉 已乎無狀一不肖殘孫 病伏田間 無所猷爲閒居之中 唯考閱先世所藏族譜 不任懷先追遠之思 一本千枝之感 又不自抑 玆復廣詢博聞 傍搜曲證 遂益其所未盡者 而其爲簡帙上下 規模大槩一依文孝公舊例 而源流浩繁 恐難尋閱者 亦各分卷一二 以便觀覽 自護軍以來八九世 至吾先考生卒仕止行錄碑碣 並冠于右 本譜之外 又附外譜

噫 此爲河氏內外一門之譜 而獨詳於吾所自出 彼蘇之所謂譜吾作者 實我先獲者也 竊嘗見范文正之言 曰吳中宗族 於吾固有親疎 吾祖宗視之 則均是子孫 子程子又云 收宗族厚風俗 使人不忘本 須是明譜系 後世宗法廢 譜牒又廢 人不知來處 往往親未絶而不相識 嗚呼 此實無狀作譜之深意 尤不欲忽忘於疎遠者也 凡我同源共系之人 觀此譜 各思其所本 而不遺其疎遠 以復吾祖宗孝友忠厚之遺風焉 則是譜也 未必無少補矣 李相國時彦 亦文孝之後 適觀風嶺路 許助以刊出此譜事 樂得與廣布宗戚 幸孰大焉

萬曆三十四年春二月日後孫 渾謹誌

 

번역

소노천(蘇老泉)이 소씨 족보를 편찬하며 말하길 한 사람의 몸에서 나뉘어져 서로 모르는 사람이 되는 것은 형세다. 요행히 잊어버리지 않는다면 가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이르기를 오로지 내 직계만 상세히 하고 높인 것은 족보를 내가 지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 이것은 천고토록 족보를 만든 사람의 마음을 잘 드러낸 말이다. 우리 선조는 옛 타주(陁州)(오늘날 진주)에서 시작되었다. 삼한시대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척이 넝쿨처럼 이어져 몇천 년이 지났는지 모른다. 이에 10대조 이전은 연대가 오래되어 자녀와 방계 친족을 찾을 수 있는 문헌이 없다.

원정공(元正公)으로 부터 문효공(文孝公)에 이르기까지 높은 벼슬이 두 왕조에 걸쳐 밝고 크게 이어지고, 내외 자손들이 나라에 가득 분포한 것을 뚜렷이 알 수 있다. 다만 각기 분파되어 세대가 멀고 복(服)을 입지 않는 먼 사이가 되었다

그 태초에 근원은 한 사람의 몸이었으나 길 가는 낮선 사람처럼 되는 것을 면하지 못하였다.

, 이처럼 잊히고 길 가는 사람같이 되었는데도 과연 편안할 수 있겠는가. 이 못난 자손이 병들어 시골에 누워 아무 대책 없이 한가히 지내던 중에 선대부터 간직하여 온 족보를 열어보고서 조상을 추모하는 생각을 감당할 수 없었고, 한 뿌리에서 나와 천 갈래로 갈라진 감회를 억제할 수 없었다

이에 다시 널리 묻고 두루 듣고, 여기저기 찾아보고 증거를 곡진히 하여 드디어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였다. 족보의 상하 규모는 대개 문효공이 만든 족보에 의거하였다.

근원과 유파가 아주 많아 찾아보기가 어려울까 싶어 각기 두 권으로 나누어 보기에 편리하게 하였다. 호군(護軍) 공이래 8, 9대로부터 우리 선고(先考)까지의 생졸 및 출처, 행적과 비갈(碑碣)은 모두 앞에다 두었고, 본손보(本孫譜)에다 외손보(外孫譜)를 붙였다.

 

! 이것으로 하씨 내외 일문의 족보로 삼는다. 그러나 오로지 우리 직계만을 상세히 하였으니 저 소씨가 말한 족보를 내가 지었기 때문이다라고 한 말은 실로 내가 먼저 터득한 셈이다.

일찍이 범문정(范文正)이 한 말을 살펴보건대 오나라의 우리 종족 중에 나에게 진실로 친소(親疎)가 있으나, 우리 조상께서 보시면 그들이 고루 친한 자손이다.’라고 하였다. 정자(程子)가 또 이르기를 종족을 거두고 풍속을 두텁게 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근본을 잊지 않게 함이다.’라고 하였다

 

모름지기 이것은 보계(譜系)의 의의를 밝힌 것이다. 후세에 종법이 없어지고 보첩(譜牒)마저 사라지면 사람들은 유래한 곳을 알지 못할 것이다. 혹은 복제(服制)가 다하지 않았는데도 서로 알지 못하게 될 것이다. , 이것이 실로 못난 내가 족보를 지은 깊은 뜻이요, 또 멀어져 가는 종족을 잊고 싶지 않아서이다.

우리와 근원과 계통을 함께하는 사람이 이 족보를 보고 각자가 그 근본을 생각하고 멀어져가는 이를 잊지 않으며, 우리 조상이 남긴 효우와 충후(忠厚)한 풍속을 회복하게 된다면 결코 이 족보의 도움이 적지는 않을 것이다. 상국 이시언(李時彦) 또한 문효공의 외후손인데 마침 영남 지방을 시찰 하던 중 이 족보 출간을 도왔다. 즐겁게 종척에게 널리 배포할 수 있게 되었으니 무엇보다도 매우 다행이다.

병오년(1606) 2월에 후손 혼(渾)이 삼가 쓰다.

 

丙午 만력보(萬曆譜)내용 설명

1606년(선조 39) 하혼(河渾) 등이 간행한 진양하씨의 족보. 분량은 상·하 2책이며, 합천의 해인사(海印寺)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표제는 “진양하씨세보”, 판심제는 “하씨족보(河氏族譜)”·“하씨외보(河氏外譜)” 등 편목(篇目)에 따라 다르다.

크기는 가로 23.3cm, 세로35.1cm이며, 유계(有界), 서발문은 항자수부정(行字數不定), 주쌍행(註雙行), 반곽 가로 20cm, 세로 26cm, 선장(線裝), 저지(楮紙)이다.

체제는 표제(表題), 구서문(舊序文), 역대유록(歷代遺錄), 서문(序文), 범례(凡例), 상집(上集), 하집(下集), 외보(外譜), 속집(續集), 별보(別譜), 내외유사명단(內外有司名單), 발문(跋文)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외유사명단은 족보 간행에 참여한 하연의 내외자손들의 명단으로 진주·고령·성주·합천 등 지역적 분포가 다양하고, 이시언, 유영순(柳永詢), 박광선(朴光先), 최항경(崔恒慶), 정온(鄭蘊), 문경호(文景虎), 강익문(姜翼文), 이언영(李彦英) 등 명사들의 이름이 보인다.

발문은 오장(吳長)·이흘(李屹)이 지은 것으로 기년은 모두 1606년이다. 이처럼 본 족보는 이시기 다른 족보에 비해 체제가 매우 세분되어 있으며 간행 내역이 매우 상세하게 부기된 특징이 있다.

진양하씨는 하진(河珍) 계열, 하공진(河拱辰) 계열, 하성(河誠) 계열 등 서로 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존재해 왔다. 이 족보는 하진 계열의 족보인데, 그 중에서도 하진의 9세손 하즙(河楫), 10세손 하윤원(河允源), 11세손 하자종(河自宗), 12세손 하연(河演)의 내외손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유중룡의 서문에 따르면, 진양하씨는 하연이 편찬한 구보(舊譜)가 있었다고 한다. 이 구보는 상집·하집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내외손을 모두 수록하였으나 임진왜란의 와중에서 대부분 소실되고 말았다.

이에 하혼이 자료를 두루 수집하여 초본(草本)을 완성하였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간행에 착수하지 못했다. 마침 하연의 외손이던 이시언(李時彦)이 경상감사로 부임하여 경비를 제공함으로서 간행에 착수하여 약 10개월의 공정을 거쳐 완료하게 되었다.

 

본 족보 말미의 “만력 병오년 춘하에 합천 해인사에서 개간하니 책판은 모두 100판이다. 본사의 직사승(直舍僧)은 잘 간수하여 분실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감사의 명령은 입안(立案)에 수록되어 있다” 는 장판기(藏板記)에서 감사 이시언이 족보 간행과 책판 관리에 깊이 간여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은 상집(上集), 하집(下集), 외보(外譜), 속집(續集), 별보(別譜)로 구성되어 있다. 분량상 상집이 1책이며, 나머지 하집, 외보, 속집, 별보를 합해 1책을 구성하고 있다. 하혼이 상하집 체제를 유지한 것은 범례 서문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하연의 구보 체제를 준용하기 위해서였다.

 

상집은 다시 5편으로 세분되어 있는데, 하연의 5자녀파를 수록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 본 족보의 수록 대상은 하집에서 하연에 이르는 4대의 내외손이지만 하연의 내외손이 압도적인 비중과 함께 가장 먼저 등재된 것은 하연이 가문의 현조이며, 족보의 편찬 주체가 하연의 내외손이라는 사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상집은 아들과 딸의 구별이 전혀 없이 출생순에 따라 내외파가 수록되어 있다. ① 장자 하효명파(河孝明派), ② 장녀서 유경생파(柳京生派), ③ 차녀서 김맹렴파(金孟廉派), ④ 차자 하제명파(河悌明派), ⑤ 삼자 하우명파(河友明派)이다.

하집은 2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① 하즙의 장녀서 진양강씨 강수명(姜壽明)의 자손보, ② 역시 하즙의 차녀서 강시(姜蓍)의 자손보이다. 이 경우 맨 상단에 하집의 이름을 표기하고, 그 하단에 하집의 아들 윤원과 강수명, 강시의 이름을 병렬 배치함으로서 출자의 명확성을 기하고 족보 열람의 편의를 돕고 있다.

외보는 모두 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보 ① 하연의 부인 성산이씨보(星山李氏譜), ② 하우명의 부인 순천박씨보(順天朴氏譜), ③ 하철석(河哲石)의 부인 야로송씨보(冶爐宋氏譜), ④ 하한우(河漢佑)의 부인 회원유씨보(檜原兪氏譜)이며, ⑤ 하천수(河千壽)의 부인 선산김씨보(善山金氏譜)이다. 이들은 사실상 하혼의 외가, 조모가, 증조모가, 고조모가, 5대조모가인 바 결국이 외보는 하혼 직계 5대의 외가보로서 편찬자의 재량이 반영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속집은 상집속(上集續)과 하집속(下集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집과 하집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한 것이다. 상집속에는 하효명의 현손 하팽로(河彭老)의 차자 하세운(河世運) 계열 등 모두 15계열이 수록되어 있고, 하집속에는 하자종(河自宗)의 사위 이양(李楊)의 손자 이추(李抽) 계열 등 16 계열이 수록되어 있다.

형태적으로는 8층의 횡간을 치고 대수에 따라 종으로 배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세대가 8대를 넘어서서 8층 안에 기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광곽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별도의 선을 그어 기입하였다.

그리고 자녀 표기에 있어 하씨 본손은 아들일 경우 이름만, 딸인 경우에는 사위의 성명을 모두 기재하였다. 여기에 비해 타성인 경우에는 아들과 딸 모두 성명을 함께 기재하여 내외손의 구분을 명확히 하면서도 자녀는 출생순으로 등록하였다. 서자녀(庶子女)는 하나도 보이지 않으며, 계후한 경우에는 이름 위에 계자(繼子)라 표기하였다.

이 족보는 내외손을 광범위하게 수록한 반면 각 개인의 주기(註記)는 매우 소략하다. 극소수의 인물을 제외한 대부분은 이름과 관직만 기록되어 있을 뿐 자(字), (), 생년, 졸년, 묘소 위치, 배위(配位) 관계 등이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족보는 본손과 외손을 동등한 기준으로 수록하고 있으며, 비록 하혼의 직계 5대에 한정되기는 하지만 외보 항목을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말미에 부기된 내외유사명단은 당시 지방 양반들의 족보 간행 동향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역시 말미에는 판각용 대본 글씨를 쓴 사람의 성명과 해당 부분이 명기되어 있어 서지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Copyright © http://jinjuha.net All rights reserved.